웃골댁의 농사이야기

[스크랩] 키다리병 방제 등 볍씨소독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웃골댁 2010. 4. 23. 22:25

 

(여기에 나오는 사진은 웃골농원 웃골댁님이 도움주셨습니다)

 

                                     농촌에는 본격적인 영농철이 시작되었습니다.

                              이제 농업기술센터에는 올해 벼농사의 시작을 준비하는 전화가 많이 옵니다.

                              볍씨 소독에 대한 문의 전화지요.

                              특히 최근에는 벼키다리병이 문제가 되면서 볍씨소독에 대한 중요성이 많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나름 정리하여 올려봅니다. ^^

 

                              먼저 볍씨는 싹을 틔우는 침종을 하기전에 건전한 종자를 가려내기 위해 소금물 가리기를 합니다.

                              틈실한 종자를 가려내기 위해서지요.

                              방법은 물18리터(약1말이 조금 안되겠네요)에 소금 약 4.5kg을 녹여 비중 1.13의 소금물을 만들어 줍니다.

                              그 물에 하루정도 볍씨를 담가둡니다.

                              그러면 건전한 종자는 밑으로 가라앉고 좋지않은 종자를 위로 떠올라 있겠죠.

                              그다음 위의 사진처럼 뜰채등을 이용하여 물위에 떠있는 종자를 건져내고 남은 종자를 2~3회 소금물을

                              헹구어내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물론 이것은 이론적인 설명입니다.

                             보통 농가에서는 소금없이 물에 담가두었다가 위에 떠 있는 종자를 건져내고 볍씨 소독을 하기도 합니다.

                             이때 충분히 담가두어 건전한 종자가 버려지는 일이 없도록 하여 주세요. ^^

 

                             

 

                              건전한 종자만 골라낸 사진입니다.

 

 

 

                                       그 다음 종자를 망에 담아 소독을 합니다.

                               예전에는 키다리병등 종자로 전염되는 병이 많지 않아 망에 담지않고 그냥 커다란 통에 물, 종자, 소독약을

                               넣고 5일정도 두면서 가끔 막대기 등을 이용하여 저어주면 됐는데 지금은 이렇게 하면 안됩니다.

                               종자는 온도가 따뜻해져야 숨을 쉬고 활동을 하는데 찬물에 들어가 있으면 활동을 하지 않습니다.

                               또한 활동을 하더라도 아주 조금하겠죠.

                               키다리병균은 맨 밑의 사진에도 나오는 것처럼 종자의 겉에만 있는것이 아니라 볍씨의 속(쌀알)에도

                               침투를 하기 때문에 따뜻한 온도(30℃)가 되어 볍씨가 왕성한 호흡을 하며 활동을 할때 그 안으로 약이 들어가

                                       키다리병균에 작용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2년전부터는 볍씨소독기가 시중에 판매가 되고 있습니다.

                                볍씨 소독기는 온도(30℃)를 맟춰주기능과 산소공급기능, 물 순환기능이 있습니다.

                                사용법은 처음에 물을 볍씨가 완전히 담길정도로 넣고 온도를 맞춰 줍니다.

                                그 다음 물양에 맞게 볍씨 소독약을 넣어줍니다.

                                종자보급소에서 나온 종자는 키다리병약인 스포탁(프로클로라유제)과 아리스위퍼(플루디올소닐수화제)가

                                겉에 처리되어 나오기 때문에 살충제만 넣어주면 됩니다.

                                그렇지않고 일반농가에서 채종한 종자를 사용할 경우에는 두 종류의 소독약(살균제)와 살충제를 넣어주고

                                볍씨 소독을 하여 주셔야 합니다.

                                그 다음 온도가 맞춰졌으면 종자를 넣고 소독을 시작합니다. 48시간이니 12시간에 한번씩

                                아래에 있는 종자를 위로 올리는 방법으로 뒤집어 줍니다.

                                

                                부득이 볍씨소독기를 사용하지 않을경우에는 철물점 등에서 판매하는 온도 조절기(일명 돼지꼬리)라고

                                부르는 온도를 올려주는 기구를 사용하셔서 48시간동안 온도를 (30℃)를 맟춰주셔야 합니다.

                                또한 햇볕이 잘 드는 하우스 등에서 온도가 최대한 30℃를 유지하도록 하여 주셔야 하구요.

                                그렇지 않을경우 소독의 효과가 떨어져 못자리나 본포에 이앙을 하고난후 키다리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다음 48시간동안 소독을 한 후에는 깨끗하고 미지근한 물로 소독약을 헹구어 주셔야 합니다.

                                볍씨의 싹이 덜 나왔다고 해서 계속 그대로 싹 틔우기를 할 경우 약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꼭 유념해 주셔야 하는 부분입니다.                                 

 

                                물론 키다리병이라는게 볍씨소독을 잘 했다고 전혀 발생하지 않는것은 아닙니다.

                                사람도 따뜻하게 옷을 입고 다닌다고 해서 감기가 안걸리는 것이 아닌것처럼요.

                                

                                종자소독을 잘 하였다하더라도 못자리를 할때 밀파(일반적 농가 상자당 200g 이상을 뿌림)를 하셔도

                                키다리병이 발생합니다. 종자가 많아 어린모가 자랄때 환경이 좋지 않아서 병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정상정인 볍씨 뿌리는 양은 상자당 130~150g입니다.

 

                                또한 상자쌓기를 할때 못자리 상자가 고온에 노출이 될경우도 키다리병이 발생할 수 있으니 못자리판을

                                상자쌓기하여 쌓을 틔울때는 주의를 하여 주셔야합니다.

 

                                그러면 볏씨소독방법을 간단히 다시 정리해보겠습니다.

 

  풍년농사를 위한 볍씨 소독요령

1. 소금물 등을 이용 건전한 볍씨를 가려낸다.

    너무 짧은시간동안 물에 담근후 가려낼경우 버려지는 볍씨가 많으니 충분히 담근후 가려내도록 한다. 

2. 프로클로라유제(스토탁, 볍씨왕)과 플루디올소닐수화제(사파이어,아리스위퍼) 두 종류의 살균제와 살충제를 넣고

   볍씨발아기를 이용 30℃에 맞춰준다음 볍씨를 넣고 48시간 동안 소독을 하여준다.

3. 종자는 12시간정도에 한번씩 밑에 있는것을 위로 올리는 방법으로 뒤집어 준다.

4. 48시간동안 침지를 하여 소독을 하여준후에는 깨끗하고 미지근한 물로 헹구어 주고 나서 싹이 적당히 나올때까지

   더 싹틔우기를 한다.  - 끝-

 

                              이상입니다. 

 

                              그 다음 볍씨를 소독한고 난 후 남은 소독약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볍씨 소독물은 고농도의 약제가 함유되어 있기에 분해 과정을 거친뒤 버려야 하는데 대부분은

                              그렇지가 못합니다. 물론 일부러 그러지 않을래도 방법을 몰라서 그런 경우가 많더라구요.

                             

                              농촌진흥청에서 작년(2010)에 발표한 자료입니다.

 

 볍씨 소독후 소독약 안전하게 처리하는 방법

 

남은 볍씨소독약에 석회, 퇴비, 볏짚 등 농자재를 첨가하여 안전하게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소독약 1리터 당 석회 100g을 고루 섞어 20시간을 놓아둔 경우 농약성분 제거율이 94%에 이르렀고 퇴비 50g은 20시간 후 91%의 제거율을

 

보였다고 합니다.   또한, 볏짚재 15g를 혼합해 3시간 가라앉힌 경우 78%, 흙 200g을 넣어 20시간 두었을 경우 70%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외에 유휴지에 소독약을 부어둔 경우 30일이 지나면 농약제거율이 90% 이상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볍씨 소독은 키다리병 방제 등 풍년농사를 위해 꼭 필요하지만 이때 발생하는 소독약을 그냥 버려 환경이 많이 오염되고 있습니다. 

 

  어렵고 번거롭더라도 우리가 같이 살아가야할 환경을 보호하는 마음으로 한번 실천해 보시는 것은 어떨런지요. 

                          

 

< 아래 사진파일은 농촌진흥청에서 나온 키다리병방제에 대한 리플릿입니다. 풍녕농사에 참고하셔요. ^^) 

 

 

준호, 지윤아빠의 농업사랑!

 

 

<글의 내용이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손가락 모양의 추천버튼을 눌러주세요. 준호,지윤아빠의  커다란 힘이 된답니다.

출처 : 준호, 지윤아빠의 농장
글쓴이 : 준호지윤아빠 원글보기
메모 :